728x90
반응형
가장 단순하지만 강력한 투자 전략
모멘텀(Momentum)이란?
모멘텀 전략은 이름 그대로 "추세에 따라 투자하는 전략"입니다.
쉽게 말해, 오르는 놈은 더 오르고, 떨어지는 놈은 더 떨어진다는 전제에서 출발합니다.
물리학에서의 '모멘텀'이 속도가 붙은 물체가 계속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성질인 것처럼,
주가도 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 방향이 계속될 확률이 높다는 가정입니다.
전략의 기본 원리
- 최근에 오른 종목을 매수
- 최근에 내린 종목은 매도 또는 제외
- 일정 기간 후 수익 실현 또는 리밸런싱
이처럼 매우 단순한 로직이지만, 역사적으로 시장 평균을 초과하는 성과를 보여준 전략 중 하나입니다.
📊 모멘텀 전략의 구성 요소
요소 | 설명 |
기준 기간 | 3개월, 6개월, 12개월 등 |
수익률 계산 방식 | 절대 수익률 or 상대 순위 |
포트폴리오 구성 | 상위 10종목, 상위 20% 등 |
리밸런싱 주기 | 매월, 분기별 등 |
예시: 12개월 모멘텀 전략
“지난 12개월간 수익률이 가장 높은 20% 종목을 매수하고,
매월 리밸런싱한다.”
Python 예제 (간단 로직)
# 지난 12개월 수익률 계산
df['momentum'] = df['close'].pct_change(252)
# 상위 20% 종목 필터링
top_momentum = df.sort_values('momentum', ascending=False).head(int(len(df)*0.2))
💡 왜 효과적일까?
- 시장에는 추세가 존재합니다.
→ “뉴스, 투자심리, 기관 매수세 등은 한 방향으로 지속되기 쉬움” - 심리적 요인도 작용합니다.
→ 개인 투자자들은 오르는 종목에 뒤늦게 편승하거나, 떨어지는 종목을 끝까지 들고 있음
즉, 모멘텀 전략은 군중 심리의 흐름을 추적하는 전략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.
⚖️ 장단점 비교
장점 | 단점 |
단순한 로직, 자동화에 적합 | 갑작스런 반전(역추세)에 취약 |
시장의 강한 흐름을 따라감 | 거래 비용 증가 가능성 |
장기적으로 초과 수익 실현 가능 | 과거 수익률이 미래를 보장하진 않음 |
📌 모멘텀 전략은 언제 잘 먹힐까?
- 강세장, 상승 추세일 때 매우 효과적
- ETF/인덱스 투자에서도 활용 가능
- 특히 기관 및 퀀트 펀드에서 많이 사용
✍️ 마무리하며
모멘텀 전략은 복잡한 수학이나 인공지능이 없어도
단순한 수익률 기반 정렬만으로도 강력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전략입니다.
수익률 추세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법을 익히면, 투자에서도 "파도 타기"가 가능해집니다
728x90
반응형
'Quant 투자 > 퀀트 알고리즘 & 전략 개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평균회귀 전략의 원리와 예시 (2) | 2025.05.15 |
---|---|
퀀트 투자란 무엇인가? 감정 없는 투자란? (1) | 2025.05.12 |